메뉴 건너뛰기
로고
책갈피 추가

0페이지 내용 없음

페이지
책갈피 추가

1페이지 내용 : 64 Weekly Education Magazine 내일신문·내일교육 공동 기획 글 강태훈 교수 성신여대 교육학과 서울대 교육학과 졸업 후 2006년 미 위스콘신-매디슨대에서 교육심리학 양적 방법론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ACT 미국대학시험 를 주관하는 비영리단체 ACT, Inc.의 교육측정연구팀 연구원 및 UCLA 교육연구소 CRESST에서 선임연구원을 거쳐 2009년부터 성신여대에 재직하고 있다. 성신여대에서 교수학습지원센터장, 학생생활상담소장, 교육혁신원장을 역임했고 한국교육평가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교육 및 심리 검사 자료를 심리 측정 이론을 통해 분석하는 양적 문항 분석, 검사 동등화, 차별적 기능 문항, 인지 진단 모형, 모형 적합도 등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미래 교육을 위한 수행평가의 의미와 역할 교육학 이론으로 다시 보는 교육 이슈 ⑥ COLUMN #칼럼 #교육학_이론으로_다시_보는_ 교육_이슈 OECD는 최근 ‘Education 2030’ 프로젝트로 장차 사 회에 진출할 학생들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역량을 정립한 바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2005년에 수행 한 DeSeCo 프로젝트에서 강조했던 ‘미래 사회 적응을 위한 핵심 역량’을 넘어 ‘새로운 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변혁적 역량’에 방점을 뒀다는 것이다. 코로나19나 챗 GPT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맞이할 미래는 불 확실성을 띠므로, 학생들이 미래에 대한 적응에 더해 바람직한 사회를 주도할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교육적 지향점 아래, 우리의 학생 평 가 방법은 어떠해야 할지 살펴보겠다. 수행평가의 의미와 필요성 수행평가는 실제 혹은 실제와 유사한 모의 상황에서 학 생이 보이는 반응을 교사가 직접 관찰하고 판단하는 평 가 방식을 말한다. 선다형 문항을 주로 사용하는 기존 의 평가에서 주어진 답지 중 정답을 고르게 한다. 이와 달리, 수행평가는 문제 상황하에서 학생의 자유로운 활 동과 반응을 교사가 직접 관찰해 수행의 질을 판단한 다. 이러한 수행평가의 종류로는 서·논술형, 구술 및 토론, 실험·실습, 연구 보고서 작성 및 발표,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등을 들 수 있다. 선다형 문항 위주의 내신 지필평가나 수능 시험을 대비 하는 수업·학습은 그 속성상 학생 개인의 개성 존중이 나 호기심 발휘와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평가 방식은 기초학력 진단 등 유용하게 사용될 일부 맥락이 존재하나 대개 단편적 지식 위주의 주입식 교 육, 즉 교사는 일방적으로 가르치고 학생은 열심히 받 아 적고 암기하는 ‘집어넣기’식 수업을 유도하게 된다. 하지만 미래 적응 및 변혁 역량은 당연하게도 ‘폭넓은 독서와 사색’ ‘깊은 사고를 통한 글쓰기와 말하기’ ‘동료 학생들과의 토의·토론 및 협동적 문제 해결’ ‘학교폭력 이나 환경오염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