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페이지 내용 : naeiledu 29 고2 겨울방학, 정시 진학으로 목표 재설정 모의고사 성적은 좋았지만 2학년 때까지 정시를 염두에 두진 않았다. N수생도 많은 현실에서 고 1 , 2 모의고사 성적만 보고 정시를 기대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정시를 고려하기 시작한 건 2 학년 2학기부터였는데, 학교 성적이 좋지 않아 목표로 했던 약대 진학이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고2 겨울방학에 컨설팅을 받았어요. 3학년 1학 기엔 수시 준비를 최소화하고 수능 공부에 매진 하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수시 파이 터’였는데요. 컨설팅 이후 수시를 보험으로 생각 하고 정시로 대학에 진학해야겠다는 목표를 정 했습니다. 겨울방학부터 수능 준비를 철저히 하 고, 고3 올라가서도 수시보다 정시에 집중했어 요. 제게 맞는 전략이었다고 생각해요.” 끝낼 수 있는 계획 수립과 실천으로 만족감 느껴 고2 12월, 관리형 독서실에 들어가면서 본격적 으로 수능 공부를 시작했다. 관리형 독서실은 전 체 이용자의 공부와 휴식 시간이 정해져 있었다. 생각보다 공부 시간이 길어서 당황했고, 시간을 온전히 활용하려면 계획을 철저히 세워야겠다고 생각했다. “관리형 독서실에 들어간 첫 주엔 시간을 재면 서, 주어진 시간 동안 과목별로 어느 정도 공부 할 수 있는지 측정했어요. 이후 퍼즐을 맞추듯 전체 자습시간에 제가 소화할 수 있는 공부들을 넣기 시작했고요. ‘무조건 다 끝낼 수 있는 계획’ 을 세우는 데 신경 썼죠. 무리하게 계획을 세워 다 끝내지 못한 상황이 생기는 건 너무 싫었거든 요. 이렇게 계획을 세우니 공부량을 예측하기도 쉬웠고, 계획도 차질 없이 모두 달성할 수 있었 어요. 계획보다 더 많이 공부한 날도 있었어요. 이 부분이 수험 생활을 견디게 해준 원동력이었 던 것 같아요. 계획을 모두 달성하고, 추가적으 로 공부를 했을 때 생기는 만족감이 엄청났거든 요. 정시 준비를 하는 친구들에게 자신의 공부 속도를 알고, 그에 맞는 계획을 먼저 세우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공부법? 모든 과목을 매일 하는 것 특별한 과목별 공부법은 없었다. 그냥 모든 과목 을 매일 공부했다. “특히 언어 과목인 국어, 영어와 지엽적 암기가 많은 지구과학은 매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생각했어요. 실천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고 요. 하루 공부의 시작은 국어, 영어, 지구과학의 ‘주간지’ 하루 분량을 끝내는 것이었어요. ‘주간 지’는 수능 때까지 필요한 부분을 매일 공부할 수 있도록 잘 쪼개둔 교재라 활용하기 좋았어요. 계 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시간도 줄여줬어요.” 국어는 어휘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단어 공부 에 신경을 많이 썼다. 수능 국어 강의를 선택할 때도 어휘 교재를 사용하는지가 주요 기준일 정 도였다. “영어에서 단어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아는 학생 은 많지만, 국어는 우리말이라 그런지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대다수더라고요. 우리 글을 읽어나갈 때도 무엇보다 어휘력이 중요하 다고 생각했어요. 고전문학뿐만 아니라 소설이 나 시, 그리고 비문학까지. 어휘력은 국어 실력 의 토대를 만든다고 생각했습니다.” 고2 때 학교에선 지구과학Ⅰ 을 선택하지 않았 지만, 표준점수와 응시자 수를 고려해 수능 과목 으로 지구과학Ⅰ 을 선택했다. “학교에선 물리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을, 수능 과목으론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을 선 택했어요. 영재학교·과학고 준비를 한 적이있
3페이지 내용 : 30 Weekly Education Magazine 어서 지구과학을 접한 적은 있지만, 완전히 새롭 게 탐구 과목을 공부한다는 것이 조금 부담스러 웠어요. 지구과학Ⅰ 은 다른 탐구 과목과는 다 르게 개념의 양이 방대하고, 문제에 지엽적인 개 념이 많이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이 많은 개념을 빠르게 암기하고, 또 수능 때까지 유지하는 방법 은 매일 지구과학을 공부하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고 실천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학기중 수능 공부 시간 확보 어려워 학교에서 정시 공부를 하는 게 쉽지 않았다. 고3 올라가기 전 겨울방학은 수능 공부에 집중할 수 있었던 귀한 시간이었다. “3월 개학 이후에는 겨울방학만큼 수능 공부에 매진할 수 없었어요. 대신 아침 시간이나 점심시 간을 활용해서 필요한 공부를 했어요. 물론 공부 시간이 줄어서 겨울방학 때처럼 모든 과목을 매 일 하지는 못했어요. 특히 국어 수학 영어를 차례 로 끝내고 나면 집에 가기 전에 생명과학과 지구 과학 중 하나를 선택해서 공부해야 했어요. 이때 항상 지구과학을 선택하다 보니 생명과학에서 어 려움을 겪기도 했죠. 시간이 부족해 균형있게 공 부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결과 좋았던 6월 모의고사 성적에 불안감 느끼고 실망스러웠던 9월 모의고사 성적에 공부량 늘려 6월 모의고사 성적이 잘 나왔다. 전체 4개를 틀려 ‘인 서울’ 의대 진학이 가능한 정도였지만 예상보 다 잘 나온 성적에 부담을 느꼈다. “직감적으로 제 점수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어요. 6월 모의고사 점수가 제겐 오히려 독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 다는 부담이 생겼고, 그 부담은 수험생활 내내 제 발목을 잡았죠. 불안이 원인이었는지는 모르겠지 만, 6월 모의고사 이후 그 어느 때보다도 열심히 준비했던 9월 모의고사에서 그다지 좋은 성적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9월 성적은 명백하게 실 력 부족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전보다 공부에 매 진했어요. 덕분에 수능에서는 노력한 만큼의 결 과를 얻었어요.” 의대 합격권의 성적이었지만, 흔들림 없이 약대 에 지원했다. “만약 의대를 목표로 했다면 가군에서 영남대 의 대나 건양대 의대를 썼을 거예요. 진학사나 다른 예측 사이트에서도 합격으로 전망했어요. 피를 잘 못 봐 의대가 적성이 아닌 데다가 성균관대 약 대가 제 최종 목표였기 때문에 가군에서 성균관 대 약대를 썼어요. 나·다군은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았고요. 다만 제가 설마하다가 영어를 2등급을 받았는데요. 영어 비중이 높은 대학도 있으니 후 배들은 영어 등급도 꼭 신경 쓰길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