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로고
책갈피 추가

0페이지 내용 없음

페이지
책갈피 추가

1페이지 내용 : 12 Weekly Education Magazine 이 주의 입시 용어 풀이 이용풀 공동 교육과정 공동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 운 소인수 과목 혹은 심화 과목을 학교 간 연계 와 협력을 통해 운영합니다. 학생의 과목 선택 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전국 17개 시· 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교육과정이죠. 현재 다니고 있는 학교에 듣고 싶은 과목이 개 설되지 않았거나, 과목이 개설됐지만 학생이 적어서 폐강됐다면 공동 교육과정을 활용해보 세요. 수업은 정규 수업 시간이나 방과 후나 주 말에 이뤄지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초·중등교육법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등 을 토대로 추진하기 때문에 기본 골격은 같지 만 각 시·도교육청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다르니 거주 지역의 교육청에 들어가서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지면상 여기서는 서울을 중 심으로 설명해드릴게요. 서울은 공동 교육과정을 공유 캠퍼스, 거점학 교, 서울온라인학교로 운영합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으로 현 고23 보통 교과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영역의 일반선택 및 진로선택 과목 와 전문 교과 전문 교과Ⅰ, 전 문 교과Ⅱ의 기초 과목 실무 과목 편성 불가 를 운영합니다. 단, 거점학교는 기초 교과 영역 은 개설하지 않습니다. 정규 교육과정이기에 교재비나 재료비가 필요 없으니 부담 제로! 공유 캠퍼스는 인근 학교를 한데 묶어 교육과정 과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운영합니다. 예를 들 어 강서·양천 지역의 영일고, 대일 고, 강서고를 묶어서 공유 캠퍼스를 정말 듣고 싶은 과목이 있는데 우리 학교에 개설되지 않아 속상하다면 공동 교육과정을 주목하세요. 다양한 과학 실험도 할 수 있고 심도 있는 예체능 수업도 들을 수 있답니다. 취재 황혜민 기자 hyemin@naeil.com 자료 서울시교육청 16 Weekly Education Magazine naeiledu 17 #선택_과목 #고교학점제 #위클리_테마 WEEKLY THEME 공동 교육과정은 학교 간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을 공유하는 제도입니다.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선택 과목이 대폭 증가했고 일선 학교에서 학생이 원하는 모든 과목을 개설하기가 어렵다 보니 교과별 거점학교 혹은 온라인에서 여러 고교의 학생이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했죠. 2018년 도입 이래 참여 학교와 개설 강좌가 대거 늘고 학생 참여율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는 데다, 대입에서도 관심 분야에 대한 흥미와 노력을 드러내는 요소이기 때문이죠. 2025년 전면 시행될 고교학점제에서는 과목 수가 더 늘어나기에 공동 교육과정의 역할이 커질 테고요. 2023년부터 시범 운영된 온라인학교는 내년부터 전국 17개 시·도에서 전면 실시됩니다. 종전의 공동 교육과정이 방과 후 또는 휴일에 진행됐다면, 온라인학교는 정식 학교로 개교해 수업도 정규 시간에 진행됩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공동 교육과정의 현황과 온라인학교를 살펴봤습니다. 취재 이도연 리포터 ldy@naeil.com 도움말 김지연 교사 인천 온라인학교 ·박연심 장학사 인천시교육청 ·손태진 장학사 서울시교육청 임진우 교사 경기 동남고등학교 ·최성완 교사 인천 신현고등학교 진로 역량 키우는 공동 교육과정 온라인학교로 2막 열리나 1148호 위클리 테마 ‘온라인학교 2막 열리나, 진로 역량 키우는 공동 교육과정’ 기사 참고 공유 캠퍼스는 운영학교 재학생만, 거점학교는 일반고 재학생 지원가능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