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페이지 내용 : 6 Weekly Education Magazine READER’S PAGE 독자에게 듣는다 ” “‘교과 연계 적합서’ 시리즈는 열심히 읽는 기사예 요. 아이가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이나 단원과 관련 된 내용이 나오면 관련 책을 찾아 필요한 부분을 발 췌해 읽어요. 주제를 어떻게 선정하고 독서 활동을 연계했는지 알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돼요.” 42 Weekly Education Magazine naeiledu 43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화학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종류라도 맛이 있는 것과 없는 것, 식감이 좋은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이 있죠. 동일한 품질의 고기도 어 떻게 보관하고, 어떤 방법으로 익히느냐에 따라 맛과 식감이 크게 달라 지고요. 이 모든 것은 화학 변화가 좌우합니다. 이 책은 어떻게 해야 더 맛있고 식감 좋은 식품을 만들 수 있을지는 물론 음식을 더 건강하게 섭 취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줍니다. 나아가 그동안 무심코 섭취했던 조미료와 기호식품, 가공식품까지 다양한 음식에 적용된 화학적 원리를 알려주죠. 흔히 화학은 우리 곁에 있다고 하죠. 식품을 통해 화학으로 세 상을 보고 느껴보기를 바랍니다.” _ 자문 교사단 산과 염기는 초등학교 과학 시간에 처음 접한 후 고교 화학Ⅱ 에서 산· 염기 평형까지 익힌다. 화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만큼 쉽 고, 또 까다롭다. 일상 곳곳 숨어 있지만 왠지 어렵게 느껴지는 화학의 성 격과 닮은 영역이기도 하다. 이 책은 ‘화학은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재미있게 일상 속 화학을 알려준 다. 매일 마주하고, 설렘과 기쁨을 주는 ‘식품’을 내세워 그 속에 숨겨진 다 양한 화학 원리를 재조명한다. 산과 염기도 그중 하나다. 예를 들어 화학 시간에 레몬은 산성이라고 배웠지만, 식품에서는 염기성으로 분류된다. 격한 운동 후 자주 찾는 알칼리성 이온 음료는 지시약으로 액성을 분석하 면 산성으로 도출된다. 식품에서의 산성·염기성은 식품을 태운 후 남은 재를 물에 녹였을 때 나타나는 성질로 판단되기 때문임을 알려주며 경수 와 연수, 알칼리와 염기의 차이까지 설명한다. 다양한 삽화가 담겨 있으며, 말하는 듯한 문체로 꼬리에 꼬리를 물며 소재 를 확장해나가 한결 이해가 쉽다. 물을 내세워 물질의 상태 및 상태 변화 개념 등 기초 개념을 잡아주고, 고기의 주성분인 단백질을 소재로 아미노 산, 고분자, 가수분해 등의 개념을 이용해 설명한 후 익히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맛과 질감이 열에 의한 단백질 변성임도 알려주는 식이다. 어패류와 곡물, 채소, 과일, 보존식품, 조미료,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 속 화학 원리와 식중독, 다이어트, 유전자편집 등의 이슈는 호기심을 불러일 으키기 충분하다. 흥미에서 출발해 원리를 탐구하고, 오해하기 쉬운 지식 을 확실하게 이해하는 기분 좋은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다양한 탐구 활 동 주제를 발견하거나 응용하기도 좋다. 나를 행복하게 하는 ‘식품’으로 화 학을 즐겁게 이해해보자. 식품으로 재밌게 화학 반응 이해하기 ONE PICK! 교과 연계 적합書 취재 정나래 기자 lena@naeil.com ·김기선 리포터 quakka@naeil.com 화학Ⅰ 산과 염기 화학 ② 쌤과 함께! 교과 연계 적합書 장성민 교사 서울 선덕고등학교 안지선 교사 서울 선덕고등학교 진동주 교사 서울 선덕고등학교 홍종욱 교사 서울 선덕고등학교 교과 연계 적합書 화학 교과 자문 교사단 #독서 #진로 #교과_연계_적합서 #화학 BOOKS&SUBJECTS ★★ 지은이 사이토 가쓰히로 펴낸곳 시그마북스 개념 Check! 산과 염기산성과 염기성을 띠는 물질. 고교 화학Ⅰ 에서는 pH·중화 등 산·염기 물질의 다양한 반응, 화학Ⅱ 에서는 산·염기 평형 관련 이론·실험을 다룬다. 다양한 식재료와 식품을 바탕으로 산·염기 기초 개념과 물질 반응, 활용 이해하기 관련 전공화학과 화학교육과 화학생명공학과 식품공학과 약학과 의학과 에너지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식품과학 이야기 ONE PICK! 책 속으로! 자문 교사단의 ‘+’ 추천 도서 제목 난도 지은이 출판사 추천 평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화학 ★★★ 크레이그 크리들·앨리스 아웃워터 궁리 화학은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화학의 기본 지식과 재미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책이다. 화학의 본질인 물질의 변화와 그 원리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면 꼭 읽어야 할 책이기도 하다. 만화 같은 그림이 대거 수록돼 있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설명으로 서술된 데다 직접 실습해볼 수 있는 연습 문제까지 실려 있다. 접근하기 쉽고, 짧은 시간 내에 유용한 지식을 재미있게 많이 쌓을 수 있다. 특히 화학에서 산과 염기는 물질 자체로도 중요하고, 실생활에서나 산업 현장에서 매우 필요한 존재다. 이 책의 9장에서는 산과 염기의 기본 개념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때로는 유용하고 때로는 유해할 수 있는 산과 염기의 세기 측정이 왜 물에서의 이온화와 연관되는지 등을 살펴보는 동시에 평형 상수를 연습하는 기회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이온, 2차 전지 등 다른 화학 분야에 대한 지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 화학 탐구 활동에 대한 아이디어도 곳곳에서 얻을 수 있다. 화학, 인문과 첨단을 품다 ★★★★ 전창림 한국문학사 인간의 삶은 곧 화학임을 말하는 책이다. 지은이는 인문학이 인간과 인간의 근원 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학문이라면 화학이야말로 인문학의 정수라고 이야기한다. 실생활, 역사, 예술 등 우리 삶의 모든 부분에서 사용되는 화학적 지식을 안내하며, 결국 물질의 본질, 변화 등 화학에서 다루는 것이 삶의 본질과 맞닿아 있음을 설명한다. 다양한 사례와 화학 지식을 다루지만, 주제가 하나로 관통되는 만큼 ‘통독’하길 추천한다. 화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라면 화학의 의미와 쓰임을 다시 한 번 고민하며 삶을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키울 수 있다. 다양한 탐구 활동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것은 덤이다. ※★의 개수는 난도를 의미. 적을수록 읽기 쉬운 책. 한걸음 더 즐겨 먹는 간식이나 식품들의 산·염기 성질 알아보기 식품·약물 섭취 시 산·염기 반응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와 사례, 활용법 조사하기 산·염기의 성질을 활용해 식품의 맛·질감이 달라지거나 신선도를 유지하는 사례 찾아보기 1112호 화학Ⅰ 산과 염기 쌤과 함께! 교과 연계 적합書_화학 ② “둘째가 고2인데 재수 없이 대입을 마무리해야 한다 는 이야기를 종종 합니다. 매년 변수가 가득한 대입 과 학년별 고민거리를 골고루 다뤄줘서 좋아요.” 18 Weekly Education Magazine naeiledu 19 지난 2월 25일 이주호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는 “휴학 중인 의대생이 복학 하면 의대 정원을 원점으로 돌리는 안도 검토하겠다”라고 말해 충격을 안겼습 니다. 지난 한 해 의료계와 교육계를 흔든 의대 증원을 무위로 돌릴 수 있다는 발언이었기 때문이죠. 이는 당장 올해 입시를 앞둔 고3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옵 니다. 고1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이수하며, 내신·수능 체계가 크게 바뀌어 입학 전부터 불안을 호소했죠. 고2는 소위 ‘끼인 세대’의 불이익을 걱정하고 있고요. 입시는 늘 까다롭지만, 어느 때보다 만만한 시기가 없다는 하소연이 나오는 요 즘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막연한 불안에 잠식되기보다,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 로 할 일을 해나가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고13이 치를 20262028 3개년 대 입을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돌아보고, 대비법을 짚어봤습니다.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이도연 리포터 ldy@naeil.com·윤소영 리포터 yoonsy@naeil.com 도움말 김상근 교사 서울 덕원여자고등학교 ·김용진 경기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영석고등학교 심재준 교사 서울 휘문고등학교 ·이치우 입시평가소장 비상교육 ·이재원 책임입학사정관 동국대학교 임진택 책임입학사정관 경희대학교 WEEKLY THEME #대입 | #수시 | #정시 | #학습 | #위클리_테마 20262028 대입 공략법 만만한 때가 없다? 1174호 20262028 대입 공략법 WEEKLY THEME_만만한 때가 없다? “2025학년 자유전공 입시 결과 궁금해요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 독자가 뽑은 베스트 기사 거주 경기 화성시 청계동 자녀 N수생, 고2 구독 기간 1년 내일교육 은 어떻게 구독하게 됐나요? 작년에 첫째가 고3, 둘째가 고1이었는데 학원에 갔다가 비 치돼 있던 내일교육 을 읽게 됐어요. 학생부 위주의 전형 을 고려하던 차에 대입 이슈를 비롯해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어구독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