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페이지 내용 : 12 Weekly Education Magazine 이 주의 입시 용어 풀이 이용풀 표준점수 ‘점수로 평가받는 더러운 세상!’이라며 저쪽으로 치워버리고 싶지만 표준점수라는 녀석은 대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표준점수까지 가는 길이 꽤 험난합니다만 영 못 갈 길도 아닙니다. 최대한 편하게 모셔드릴 테니 마음을 편하게 내려놓고 찬찬히 따라오세요. 취재 황혜민 기자 hyemin@naeil.com 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EBSi 44 Weekly Education Magazine FACT CHECK 수능에서 만점을 받았는데 1개 틀린 학생 보다 최고 표준점수가 낮다는 건 무슨 말일까? 2024 수능에 서 만점자로 알려진 경기 외대부고 졸업생인 유리아씨는 국 어·수학·탐구 영역에서 만점을 받고, 영어와 한국사 영역에 서 1등급을 받았다. 국어는 언어와 매체 , 수학은 미적분 , 탐구 영역은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을 선택해 그의 표준 점수는 435점이었다. 반면, 최고 표준점수를 받은 학생은 대구 경신고 졸업생인 이 동건씨다. 국어와 수학 선택 과목은 같고, 탐구 영역은 화학 Ⅱ 생명과학Ⅱ 를 선택했다. 그가 받은 표준점수는 449점 이었다. WHY? 수능 성적표에는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적힌다! 수능 성적표에는 영역, 선택 과목,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된다 표 1 국어와 수학, 탐구 영역은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이 함께 쓰이고, 절대평가인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 한문은 등급만 적힌다. 대학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국어와 수학은 표준점수, 절대평가인 영어와 한국사는 등급, 탐구는 대학에 따라 백분위에 따른 변환 표준점수를 활용하 거나 수능 성적표에 기재된 표준점수를 그대로 활용한다. 참 고로 서울대는 탐구에서 표준점수를 그대로 반영한다. 보통 입시기관에서 작업한 정시 배치표는 표준점수의 합과 백분위 합을 같이 표기한다 사진 대학에 따라 정시 활용 지표가 다르 기 때문이다. 두 학생 모두 국어는 언어와 매체 , 수학은 미적분 을 선택 해 만점을 받았으므로 두 영역의 표준점수는 같다. 다만, 탐구 영역에서 차이가 벌어졌다. 탐구는 과학 8개, 사회 9개 과목으 로 다양하고, 매해 시험 난도와 응시 집단에 따라 표준점수와 EDUCATION #정시 #수능 #대입 대입은 알면 알수록 어렵다. 낯선 용어들이 나오는 것은 물론 변수도 많다. 수시 합격자 발표가 진행되고 정시 접수를 앞둔 시점이지만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제법 많다. ‘수능 만점자는 왜 1개를 틀린 학생보다 표준점수가 낮을까?’ ‘왜 수능 만점자는 서울대 의대에 갈 수 없을까?’ ‘2024 수능은 난도가 높아 등급 컷은 내려갔다고 들었는데 왜 정시 합격선은 올라갈 거라고 예상할까?’ 등 교육 카페나 뉴스에서 접하는 대입 용어나 사례를 중심으로 정시 용어와 개념을 안내한다. 취재 민경순 리포터 hellela@naeil.com 도움말 허철 연구원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이슈로 본 정시 용어 수능 만점자보다 표준점수 높은 학생이 있다? FACT 서 생 지원하기 수능 만점 졌다. WHY? 작년까지 Ⅱ 과목 Ⅱ과목 의 어든 데다 포기하더 을 선택 # 수능 만점자보다 표준점수가 14점이 높다? 대성학원에 보통 배치 배치표를 288점, 백분위에 아도 과 최고점 표 63점, 점, 세 제 7 Ⅰ 6 과학Ⅱ 학Ⅱ 8 # 만점 수험번호 성명 생년월일 성별 출신 학교 반 또는 졸업 연도 1111111 김내일 05.01.01 남 내일대학 2024 영역 한국사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제2외국어 한문 선택 과목 언어와 매체 미적분 과학Ⅰ 생명 과학Ⅰ 지구 표준점수 150 148 69 68 백분위 100 100 99 99 등급 1 1 1 1 1 1 1 수능 성적표 예시다. 올해 국어 최고 표준점수는 140점, 수학 최고 표준점수는 148점으로, 2024 정시에서 국어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표 1_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 예시 1120호 ‘수능 만점자보다 표준점수 높은 학생이 있다? 이슈로 본 정시 용어’ 기사 참고 표준점수를 이해하기에 앞서 원점수를 알아야 합니다.원점수란 말 그대로정답을 맞힌 문항에 부여된 점수를 합한 겁니다. 어떤 작업도 하지 않은 순도 100%의 점수죠. 모든 학생의 원점수 를 쭉 늘어놓으면 가장 많은 학생이 몰리는 구간 이 있습니다. 여기가 바로 평균이죠. 양 끝으로 갈수록 학생 수는 줄어들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 원점수 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자연스럽게 종 모 양이 됩니다. 수능은 대학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중요한 기준 이죠. 수많은 학생이 응시하는 만큼 공정한 기준 을 세워 한 학생의 점수가 전체에서 어디쯤 위치 하는지 정확히 평가해야 합니다. 평가에는 비교 가 그림자처럼 따라붙습니다. 잔인하지만 그러 합니다. 평가와 비교가 꼭 필요하다면 기준은 반 드시 공정해야겠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각 영역과 과목 에 응시하는 수험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실 상 난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원점 수로는 개인 간 상대적인 비교나 개인의 영역 혹 은 과목 간의 비교는 어렵기에 표준점수제를 도 입했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