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로고
책갈피 추가

0페이지 내용 없음

페이지
책갈피 추가

1페이지 내용 : 8 Weekly Education Magazine READER’S Q&A 독자에게 답하다 같은 등급이라고 해도 학생마다 원점수는 제각각이에요. 대학에서 평가할 때 이를 반영하나요? 종합전형은 등급 내 위치를 고려하고, 교과100%전형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9등급제에서 1등급은 전체 학생의 상위 4% 이하, 2등급은 상위 4% 초과11% 이하, 3등급은 11% 초과 23% 이하입니다. 한 학년이 100명이라면 1등부터 4등까지 1등급, 5등부터 11등까지가 2등급, 12등부터 23등까지 3등급을 받죠. 같은 1등급 중 1등과 4등 혹은 같은 3등급 중 12등과 23등을 구별하느냐는 질문인데 요. 교과100%전형의 경우 등급을 기준으로 환산점을 산출하기에 같은 등급 내 상 대적인 위치를 따로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대학에 따라 이수 단위를 적용하지 않거 나 등급에 이수 단위를 곱하는 방식으로 이수 단위를 적용하기도 합니다. 서울 배재고 장지환 교사는 “종합전형은 학생부를 정성 평가한다. 학생부에 해당 과 목의 평균, 표준편차까지 있으니 등급 내 위치도 고려할 수 있다. 그래서 원점수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학생부에 담긴 정보로는 등급 내 순위는 산출할 수 없고 등급 내 위치는 추정 가능하다.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는 2028 대입부터는 등급 내 구 간이 넓어지기에 등급 내 위치는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합니다. 예비 고1부터는 내신 5등급제가 적용됩니다. 10%까지 1등급, 누적 34%까지 2등급, 66%까지 3등급, 90%까지 4등급, 100%까지 5등급으로 현 9등급제에 비해 등급 내 구간의 폭이 넓어 학생부를 반영하는 전형에서는 등급 내 위치 또한 중요해질 것입 니다. 대학이 학생부 교과 성적을 평가할 때 같은 등급 내 성적 차이도 반영하나요? 취재 김민정 리포터 mjkim@naeil.com 도움말 장지환 교사 서울 배재고등학교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