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로고
책갈피 추가

0페이지 내용 없음

페이지
책갈피 추가

1페이지 내용 : naeiledu 69 WEEKLY HOT BOOKS puripuda@naver.com 글 정유미 자유기고가 미야자키 하야오 따라 하기 애니메이션에 큰 관심이 없어도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명작은 영 화, 책, 캐릭터 굿즈 등 여러 경로로 접했을 것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애니메이션 스 튜디오 중 하나로 꼽히는 스튜디오 지브리는 2023년 개봉한 신작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로 2024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받으며 애니메이션 의 역사를 새롭게 썼다. 일본 영화가 아카데미에서 애니메이션상을 받은 건 두 번째 로, 스튜디오 지브리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이후 21년 만의 수상이었다. 이 책은 세계적인 영화 스튜디오의 스토리 비법을 파헤치는 ‘스토리텔링 비법 시리 즈’의 두 번째 책으로 스튜디오 지브리를 이끄는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의 스토리텔 링 방식을 분석하고 요약, 실전 연습까지 지도한다. 지브리 창작 프로세스의 핵심인 ‘이미지 보드’를 알아보고 매력적인 캐릭터와 세계관을 만드는 법, 이야기 구조 짜는 법 등을 영화 속 사례를 통해 쉽고 직관적으로 설명한다. 저자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방법론을 공부한다고 해서 그와 같은 창작자가 될 수 있 는 것은 아니지만 모방하려는 시도를 통해 자신만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독자 를 격려한다. 지브리 영화 같은 작품을 만들고 싶은 청소년과 지브리 영화를 좋아하 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창작자를 위한 지브리 스토리텔링 지은이 이누해 펴낸곳 도서출판 동녘 BTS만큼이나 한국을 알리는 데 진심인 선생님 베를린의 한국학 선생님 지은이 이은정 펴낸곳 사계절출판사 아시아 여성 최초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역사문화학부 학장으로 선출된 이은정 한국 학과 교수가 쓴 책이다. 베를린자유대 한국학과의 첫 번째 정교수가 된 지은이가 유 럽인에게 생소한 ‘한국학’을 어떻게 대중적인 학문으로 끌어올렸는지, 그 15년간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다. 1부 ‘나는 베를린의 한국학 선생님’에서는 1980년대에 유학 생활을 하면서 열악한 환경과 차별을 극복하고 젊은 정치학자로 성과를 쌓은 과정을 흡사 전기 영화처럼 그렸다. 한국학과 교수가 되면서 한국학 만들기와 한국 알리기에 앞장선 그는 10년 에 걸쳐 독일통일총서 30권을 완간한 공을 인정받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고 이미륵상을 수상했다. 2부 ‘함께 만드는 한국학’에선 한국학과 학생이 한복 입기, 케이팝 댄스 경연, 한류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한국 문화와 역사를 적극적으로 배우는 모습을 생생하게 소 개한다. 3부 ‘한국을 심기 위한 말 걸기’에서는 한국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 풀 어야 할 여러 문제를 언급하며 목소리를 낸다. 한국학과 한류 문화에 관심 있는 학생 과 해외 생활을 그린 에세이를 좋아하는 독자에게추천한다.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