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페이지 내용 : 66 Weekly Education Magazine 내일신문·내일교육 공동 기획 글 김준엽 교수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학업성취 평가 교육학 이론으로 다시 보는 교육 이슈 ⑧ COLUMN #칼럼 #교육학_이론으로_다시_보는_ 교육_이슈 학업성취는 교과 교육을 통해 학생이 성취하기를 기대 하는 목표를 실제로 성취한 정도를 의미한다. 학업성 취는 개인 수준에서 직업경력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예 측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사회 수준에서도 번영의 전제 조건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각 국가들은 국가 교육 시스템의 강약점을 분석하고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국 가를 벤치마킹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국가의 학업성취 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자원이 교육에 투입된다. 학업성취 평가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상대평가와 절대 평가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최근 고교학점제 도입 과 맞물려 2025학년부터 고등학교에서 전 과목에 대 해 5등급의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병기하는 개편안 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학업성취 평가의 목적은 두 개의 대조되는 평가관, 즉 인재 양성의 관점에서 학생의 학업 능력을 측정 해 이를 선발과 배치에 활용하고자 하는 선발적 평가 관과 학생발달의 관점에서 무엇을 얼마나 잘 배우고 있는가에 관련한 증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학습 을 개선하고자 하는 발달적 교육관에 기초한다. 목적 이 다르다면 목적에 맞는 산출물을 얻기 위한 평가 방 식도 달라야 한다. 선발적 평가관을 반영한 규준참조 norm-referenced 평가 방식과 발달적 평가관에 기 초한 준거참조 criterion-referenced 평가 방식이 전 통적으로 학업성취 평가에 활용돼왔다. 일반적으로 규 준참조 방식을 상대평가, 준거참조 방식을 절대평가라 한다. 학생 A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100점 만점에 85점을 받았다고 가정해보자. 85점이라는 숫자 원점수 가 우 리에게 주는 정보는 사실상 아무것도 없다. 상대평가 에서는 85점이 함께 시험을 본 집단에서 어느 정도의 서울대 교육학과 졸업 후 2006년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교육측정평가 양적방법론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찰스 드류대 정신의학과의 AIDS연구소 선임연구원 및 조교수를 거쳐 2008년부터 홍익대에 재직하고 있다. 홍익대에서 입학관리본부 입학사정관실장을 역임했고 한국교육평가학회 이사를 맡고있다.